제목의 글을 설명하기에 앞서 정보전달의 목적도 있지만,
제가 잊지않기 위해서 공부 및 정리하며 쓰는 글이라는 사실을 미리 고지합니다.
개발자라면 꼭 사용해야하는 버전관리 시스템(VCS),
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Git에 대해서 설치 및 계정을 연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.
Github 계정 및 Github 내 Clone할 Repository가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된 글입니다.
VSCode에서 Github 계정 정보 설정하기
1. VSCode에서 터미널(Terminal) 창을 엽니다.
- 방법:
- 키보드: Ctrl + Shift + `
- 마우스: VSCode 상단의 Terminal 클릭 > New Terminal 클릭
2. Terminal로 Git 계정이 연동 정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
- Git 계정 주소 정보 확인
- 명령어: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
- Git 계정 이름 정보 확인
- 명령어: 명령어: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
3. 2의 과정을 통해 연동된 정보가 없음(빈 값)을 확인한 후 계정 연동을 진행합니다.
- Git 계정 주소 정보 설정
- 명령어: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계정 주소"
- 예시: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test@gmail.com"
- Git 계정 이름 정보 설정
- 명령어: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계정 이름"
- 예시: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Test"
4. Git 계정 정보가 정상적으로 연동되었는지 2의 과정을 반복합니다.


'Programming > 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텔리제이(IntelliJ) 환경에 Git 설치 및 Github Repository 연동하기 (0) | 2023.01.13 |
---|---|
웹 스토리지(Web Storage) - 로컬 스토리지(Local Storage), 세션 스토리지(Session Storage) (0) | 2023.01.10 |
웹(Web)에 구글 폰트(Google Font) 적용/사용하기 (0) | 2022.12.20 |
VSCode 환경에 Git 설치 및 Github Repository 연동하기 (0) | 2022.11.16 |
VSCode의 Terminal에서 Vue-Cli 설치 명령어 인식 불가 오류 해결 방법 (0) | 2022.11.08 |
댓글